로그인을 하셔야 이용 가능 합니다.
제목 | [산업통상자원부] 러 정부, 비우호국 등에 대한 “특별경제조치”관련 세부내용 발표 |
관리자 | 2022-05-13 | 32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러 정부, 비우호국 등에 대한 “특별경제조치”관련 세부내용 발표 □ 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이창양)는 5.12(목) 러시아에서 발표한 특별경제조치의 세부내용 및 제재대상 리스트를 입수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함
□ 이번 제재의 핵심은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통제인 것으로 판단되며, 가스공사 등 우리 기업은 31개 제재대상에서 제외되는바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됨 * 가스공사와 제재대상(31社) 기업 간 거래는 없는 것으로 파악
□ 한편, 산업부는 5.13(금) 09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주재 「산업자원안보 TF」를 화상 개최하고, 주요 품목별 수급동향 및 대응방안을 점검함
□ 참석자들은 현재까지는 러發 공급망 불안에 차질없이 대비 중이나 원자재 가격상승, 경영 불확실성 가중 등 애로가 있다고 진단함 ㅇ (천연가스) 우리나라의 對러 의존도가 약 6% 수준('21년 기준)이고, 금번 제재대상에도 포함되지 않았으나, 전세계 천연가스 물량 확보 경쟁 심화 및 국제가격 상승이 우려됨 ㅇ (희귀가스(네온·크세논·크립톤)) 재고비축 및 대체공급선 확보를 통해 대응 중이며 정부도 할당관세(5.5% 0%, 22.4~연말)를 적용 중임 ㅇ (철스크랩) 국내 자급률이 84.6%으로 높고, 美·日 등으로부터 대체 가능하여 수급 차질은 크지 않을 전망이나 가격 상승이 우려됨 ㅇ (무연탄) 철강사들이 대체 수입선을 통해 연말까지 사용할 물량확보를 선제적으로 완료하였으며 미분탄 등 대체제도 발굴함 □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사태의 전개양상 예측이 어려운 만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수입선 다변화, 재고확대 등을 통해 철저히 대비해줄 것을 당부하면서, ㅇ 정부도 해외공관·코트라·무역협회·지상사 등 가용한 네트워크를 총 동원하여 관련된 정보를 기업과 신속히 공유하고 불확실성 해소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언급함 |
||||||||||||
첨부파일 | 220513 (보도참고자료) 러 정부, 비우호국 등에 대한 “특별경제조치”관련 세부내용 발표F.pdf | |||||||||||
첨부파일 | 220513 (보도참고자료) 러 정부, 비우호국 등에 대한 “특별경제조치”관련 세부내용 발표F.hwp |